보건학과 전공소개
보건학전공은 국민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 전망도 매우 밝다.
특히 정보화 사회와 지식기반사회로의 진입이 불가피한 미래 사회에서의 보건전공은 보건의료 분야의 전문인 양성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전공은 현재 보건행정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보건 및 의료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를 초빙하여 강의를 전담케 하고 있으며, 특히 효율적 보건행정 업무를 위해 정보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다.
교수명단
교수명 |
학위 |
전공 |
담당교과목 |
이승철 |
행정학박사 |
지방행정 및 지역보건 |
보건학개론, 보건행정학개론, 의료사회학 |
서정욱 |
정책학박사 |
정책, 연구통계 |
연구방법론, 의료보장론, 의료정책 및 기획론 |
김동신 |
행정학박사 |
마케팅 및 병영조직경영 |
의료마케팅론, 병원경영 및 마케팅론, 의료경영학 |
구분 | 과목명 | 학점 | 비논문학위 과정과목 |
---|---|---|---|
공통 | 개별연구지도(Research Works) | 1 | |
공통 | 의료경영학(Health Care Management) | 3 | ○ |
공통 | 경영학개론(Principles of Management) | 3 | |
공통 | 의료정책 및 기획론(Health Care Policy & Panning) | 3 | ○ |
전공 | 의료소비자행동론(Health Care Consumer Behavior) | 3 | |
전공 | 의료마케팅론(Health Care Marketing) | 3 | |
전공 | 국제의료경영(International Health Care Management) | 3 | ○ |
전공 | 의료경영정보체계(Health Car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3 | |
전공 | 의료품질경영론(Health Care Services Quality Management) | 3 | |
전공 | 의료경영영어(Health Care Management English) | 3 | |
전공 | 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 3 | ○ |
전공 | 병원회계학특론(Special Hospital Accounting) | 3 | |
전공 | 의료재무관리(Medical Financial Management) | 3 | |
전공 | 의료피부미용경영특론Ⅰ(Special Health Care Skin & Beauty ManagementⅠ) | 3 | |
전공 | 의료피부미용경영특론Ⅱ(Special Health Care Skin & Beauty ManagementⅡ) | 3 | |
전공 | 과학적 의료피부미용경영세미나Ⅰ(Advanced Health Care Skin & Beauty Management SeminarⅠ) | 3 | |
전공 | 과학적 의료피부미용경영세미나Ⅱ(Advanced Health Care Skin & Beauty Management SeminarⅡ) | 3 | |
보충 | 보건학개론(Principles of Public Health) | 3 | |
보충 | 보건행정학개론(Principles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 3 | |
보충 | 역학(Epidemiology) | 3 | |
보충 | 의료통계학(Biostatistics) | 3 | |
보충 | 병원전산관리학(Hospital Computergraphic Management) | 3 | |
보충 | 의료보장론(Medical Security) | 3 | |
보충 | 의료사회학(Medical Sociology) | 3 | |
보충 | 병원경영 및 마케팅론(Hospital Management & Marketing) | 3 | |
보충 | 보건피부미용관리과학론(Health Care Skin & Beauty Management Science) | 3 |
구분 | 교과목 | 교과목해설 |
---|---|---|
공통 | 개별연구지도 | 개인별 수업방법을 통하여 논문작성에 필요한 자료수집 및 분석기법등을 주로 다루는 과목이다. |
공통 | 의료경영학 (Health Care Management) |
본 강좌는 경영학의 기초적인 지식과 기법을 의료분야에 적용하여 경영학적 측면에서 의료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응용학문이다. |
공통 | 경영학개론 (Principles of Management) |
보건의료조직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인사 및 재무관리, 팀관리제도, 마케팅전략등 기초적인 경영학의 지식과 기법등을 소개하는데 본 강좌의 주 목적이 있다. |
공통 | 의료정책 및 기획론 (Health Care Policy & Panning) |
보건의료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책과 기획이론이 필수적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강좌는 의료현상에 적용시킬 수 있는 전반적인 정책 및 기획이론을 소개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전공 | 의료소비자행동론 (Health Care Consumer Behavior) |
본 강좌는 환자가 의료서비스를 구매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환경적요소를 소개하여 의료서비스의 구매에 대한 환자의 의사결정과정을 분석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전공 | 의료마케팅론 (Health Care Marketing) |
본 강좌는 의료서비스가 지니고 있는 독특한 특성을 기초로 경영학적 측면에서 의료서비스라는 상품의 생산 및 판매과정을 분석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전공 | 국제의료경영 (International Health Care Management) |
본 강좌는 세계화의 추세와 함께 급변하고 있는 국제의료현상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전략적 생존기법을 소개하고 나아가 비교론적 관점에서 국내외 의료기관의 전략적 성장기법등을 다루는데 주 목적이 있다. |
전공 | 의료경영정보체계 (Health Car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본 강좌는 경영정보체계의 관리에 필요한 이론과 기법을 의료현상을 분석하는데 적용하므로써 경영정보체계가 보건의료기관의 성장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전공 | 의료품질경영론 (Health Care Services Quality Management) |
본강좌는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계적 분석자료를 소개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특히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적 기법인 TQM, 팀웍관리, 팀관리제도 등을 소개하고 있다. |
전공 | 의료경영영어 (Health Care Management English) |
본 강좌는 의료경영학을 학습하는데 필요한 영어능력을 배양하여 의료경영과 관련된 원서를 이해시키는데 주 목적이 있다. |
전공 |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
보건의료현상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연구조사방법에 관한 이론과 기법이 필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본 강좌는 연구조사방법의 이론과 기법을 소개하고, 이를 의료현상에 적용시킬 수 있는 적용능력을 배양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전공 | 병원회계학특론 (Special Hospital Accounting) |
합리적인 보건의료기관의 운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회계정리와 보고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강좌는 의료기관의 사례별 회계관리를 소개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전공 | 의료재무관리 (Medical Financial Management) |
본 강좌는 보건의료기관의 자산부채에 관한 제반 이론을 소개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특히 재무계획, 예측 및 평가, 자본조달, 위험수익수익분석등을 소개한다. |
전공 | 의료피부미용경영특론 I (Special Health Care Skin & Beauty ManagementⅠ) |
본 강좌는 의료피부미용의 세계적변화에 맞추어 전문 의료피부미용경영인에게 필요한 신경영이론과 기법을 소개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전공 | 의료피부미용경영특론 II (Special Health Care Skin & Beauty ManagementⅡ) |
본 강좌는 의료피부미용경영특론 I을 기초로 통계적자료에 의한 의료피부미용경영에 필수적인 사례별 비교분석을 하기 위한 과목이다. |
전공 | 과학적 의료피부미용경영세미나 I (Advanced Health Care Skin & Beauty Management SeminarⅠ) |
토론식 수업을 통하여 본 강좌는 소비자의 심리적요소와 환경적요소가 피부미용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전공 | 과학적 의료피부미용경영세미나 II (Advanced Health Care Skin & Beauty Management SeminarⅡ) |
본 강좌는 의료피부미용분야에서 성공한 경영인을 초대하여 성공사례를 수강하고, 나아가 현장실습을 통해 이론과 현실의 차이를 학습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보충 | 보건학개론 (Principles of Public Health) |
본 강좌는 의료경영학을 이해하는 필수기초교과목이다. 따라서 본 강좌는 보건학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기초적인 이론을 제공하여 의료경영학의 이해를 돕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
보충 | 보건행정학개론 (Principles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
본 강좌는 보건의료체계의 소개와 보건의료행정체계의 관리및 운영에 대한 응용적 지식을 제공하여 보건의료경영인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보충 | 역학 (Epidemiology) |
역학은 질병의 원인을 규명하고 분석하기 위한 보건학의 필수기초과목이다. 따라서 본 강좌는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고 그 발생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기초적인 이론을 제공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보충 | 의료통계학 (Biostatistics) |
의료통계학은 수학적인 처리분석방법을 통해서 의료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과목이다. 따라서 본 강좌는 수집된 보건자료를 수학적인 처리방법에 의해 분석하는 능력을 제공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특히, SAS 및 SPSS등이 강조되고 있다. |
보충 | 병원전산관리학 (Hospital Computergraphic Management) |
병원행정체계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본 강좌는 능동적인 전산관리인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필요한 병원경영정보체계의 기초적개념 및 활용기법을 제공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보충 | 의료보장론 (Medical Security) |
의료보장은 최근에 보건의료분야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강좌는 의료보장의 사회적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보충 | 의료사회학 (Medical Sociology) |
의료사회학은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의료문제를 규명하는 응용학문이다. 따라서 본 강좌는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의료에 대한 사회적 이슈를 소개하고 있다. |
보충 | 병원경영 및 마케팅론 (Hospital Management & Marketing) |
본 강좌는 의료서비스의 생산 및 판매과정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그리고 의료기관의 경영혁신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법을 제공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보충 | 보건피부미용관리과학론 (Health Care Skin & Beauty Management Science) |
본 강좌는 건강한 피부미용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요인들을 소개하고 그리고 피부미용의 노화예방 및 관리에 필요한 전반적인 기초지식을 제공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
38453)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Tel. 053-850-5033 Fax. 053-850-5039 copyright(c) Daegu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