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예술디자인학과 전공소개
● 플라워디자인전공 , 뷰티디자인전공, 실내건축전공, 아동미술전공
• 본 전공은 21세기 대중문화 시대의 대규모 공연과 이벤트 등 각종 행사에 기여하는 뷰티 전문인과 개성화 시대에 사는 현대인들의 아름다운 삶의 미적 욕구를 창출하기 위한 전문 교과과정이다.
• 시대적이고 실무적인 교육으로 이론적 체계와 실습을 통하여 미적 감각과 전문능력을 갖춘 고급인재를 배출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수명단
교수명 |
학위 |
전공 |
담당과목 |
송록영 |
미술학석사 |
텍스타일디자인 |
직물디자인연구, 아트페브릭연구 |
최영림 |
생활과학박사 |
모델리즘 |
고급의복구성연구, 산업패턴연구 |
임지아 |
복학미학박사 |
의류학 |
복식미학연구, 색체관리연구 |
김소현 |
의류학박사 |
패션디자인 |
패션디자이너와 브랜드연구, 패션트랜드 연구 |
송지은 |
디자인 박사 |
패션디자인 |
패션스타일링, 디자인창의와 표현 |
전상훈 |
이학박사 |
패션디자인 |
직물소재디자인, 패션프로덕트디자인 |
장진 |
미술학박사 |
동양화 |
동양화 실기 및 이론 |
교수명 |
직위 |
전공 |
담당과목 |
정준형 |
교수 |
주거환경계획 |
디자인연구방법론 |
김수정 |
교수 |
실내 디자인 설계 |
색체계획론 |
정경숙 |
부교수 |
실내 환경디자인 |
디자인세미나 |
정석연 |
부교수 |
실내건축디자인 |
실내디자인론 |
김수홍 |
조교수 |
공간디자인 |
디자인발상연구 |
김보경 |
겸임교원 |
회화문화제 보존수복학 |
전통꽃일연구, 한국꽃예술문화사 |
정재간 |
겸임교원 |
테이블세팅디자인 연구 |
원예치료학, 테이블셋팅디자인연구 |
최영옥 |
겸임교원 |
원예 조경학 |
절화생리학특론, 화기및오브제연구 |
예언경 |
겸임교원 |
원예학 |
실내장식론, 생활원예론 |
학과(전공) | 과목코드 | 과목명 | 학점 | 시간 |
공통 | 10000 | 개별연구지도(Research Works) | 1 | 1 |
공통 | 10219 | 영상미학(The Aesthetics of Image) | 3 | 3 |
공통 | 10331 | 조형학특론(Special Seminar of Formative Art) | 3 | 3 |
공통 | 10332 | 색채계획론(Color Planning) | 3 | 3 |
공통 | 10333 | 디지털아트론(The Theory of Digital Art) | 3 | 3 |
공통 | 10335 | 인터랙티브디자인(Interactive Design) | 3 | 3 |
공통 | 10336 | 디자인문화론(Theory of Design Culture) | 3 | 3 |
공통 | 10337 | 디자인마케팅(Design Marketing) | 3 | 3 |
공통 | 10338 | 디자인연구방법론(Theory of Design Study Method) | 3 | 3 |
공통 | 10339 | 창업이론(Theory of Enterprise Foundation) | 3 | 3 |
공통 | 10470 | 예술공학(Art Technology) | 3 | 3 |
공통 | 10514 | 미디어아트(Media Art) | 3 | 3 |
공통 | 10515 | 모션그래픽스(Motion Graphics) | 3 | 3 |
학과(전공) | 과목코드 | 과목명 | 학점 | 시간 |
전공 | 10325 | 플라워디자인특론(Advanced Floral Design) | 3 | 3 |
전공 | 10327 | 절화생리학특론(Advanced Physiology of Cut Flower) | 3 | 3 |
전공 | 10349 | 디자인세미나(Design Seminar) | 3 | 3 |
전공 | 10415 | 화훼식물학특론(Advanced in Floriculture) | 3 | 3 |
전공 | 10416 | 플라워디자인연구(1)(Studies in Flower Design(1)) | 3 | 3 |
전공 | 10417 | 플라워디자인연구(2)(Studies in Flower Design(2)) | 3 | 3 |
전공 | 10419 | 화기및오브제연구(Studies of Flower Vase & Object) | 3 | 3 |
전공 | 10422 | 현대미술·디자인사론(Theory of Modern Art and Design) | 3 | 3 |
전공 | 10505 | 디자인발상연구(Studies in Design Idea) | 3 | 3 |
전공 | 10506 | 화훼색채학특론(Advanced of Floral colors) | 3 | 3 |
전공 | 10507 | 디스플레이마케팅(Display Marketing) | 3 | 3 |
전공 | 10533 | 원예치료학(Horticultural Therapy) | 3 | 3 |
전공 | 10563 | 전통꽃일연구(Studies Traditional Flower Arts) | 3 | 3 |
전공 | 10584 | 테이블세팅디자인연구(1)(Studies of Table Setting Design(1)) | 3 | 3 |
전공 | 10585 | 테이블세팅디자인연구(2)(Studies of Table Setting Design(2)) | 3 | 3 |
전공 | 10588 | 한국꽃예술문화사(Culture History Of Korea Flower Art) | 3 | 3 |
보충 | 10320 | 실내디자인론(Theory of Interior Design) | 3 | 3 |
보충 | 10424 | 생활원예론(Horticulture in Living) | 3 | 3 |
보충 | 10425 | 꽃작품표현실습(1)(Flower Arrangement(1)) | 3 | 3 |
보충 | 10464 | 실내장식론(Interior Coordination and Decoration) | 3 | 3 |
학과(전공) | 과목코드 | 과목명 | 학점 | 시간 |
전공 | 10400 | 실내디자인사론(Theoretical History of Interior Design) | 3 | 3 |
전공 | 10406 | 실내공간디자인스튜디오(1)(Interior Space Design Studio(1)) | 3 | 3 |
전공 | 10407 | 실내공간디자인스튜디오(2)(Interior Space Design Studio(2)) | 3 | 3 |
전공 | 10409 | 실내장식디자인스튜디오(1)(Interior Decorative Design Studio(1)) | 3 | 3 |
전공 | 10410 | 실내장식디자인스튜디오(2)(Interior Decorative Design Studio(2)) | 3 | 3 |
전공 | 10497 | 실내시공학(Interior Construction Methoddology) | 3 | 3 |
전공 | 10498 | 주거환경연구 (Studies of Housing Environmental Analysis) | 3 | 3 |
전공 | 10499 | 실내디자인 특수과제Ⅱ(Interior Design Studio Ⅱ) | 3 | 3 |
전공 | 10500 | 실내환경색채연구(Color Study on Interior Environment) | 3 | 3 |
전공 | 10501 | 실내디자인방법론(Interior Design Methodology) | 3 | 3 |
전공 | 10541 | 공간행태론(Theory of Space Behaviorism) | 3 | 3 |
보충 | 10320 | 실내디자인론(Theory of Interior Design) | 3 | 3 |
보충 | 10502 | 주거재료학(Materials of Housing) | 3 | 3 |
보충 | 10503 | 환경색채학(The Theory of Environmental Colors) | 3 | 3 |
보충 | 10542 | 환경디자인평가연구(Study Environmental Design Evaluation) | 3 | 3 |
학과(전공) | 과목코드 | 과목명 | 학점 | 시간 |
전공 | 10428 | 피부미용학특론(Theory of Skin Beauty) | 3 | 3 |
전공 | 10429 | 뷰티트렌드연구(Study in Beauty Trend) | 3 | 3 |
전공 | 10430 | 특수분장(Special Disguisement) | 3 | 3 |
전공 | 10431 | 피부관리학특론(Theory of Skin Care) | 3 | 3 |
전공 | 10433 | 한국뷰티문화사(History of Korea Beauty Culture) | 3 | 3 |
전공 | 10434 | 서양뷰티문화사(History of Western Beauty Culture) | 3 | 3 |
전공 | 10435 | 뷰티마케팅연구(Study in Beauty Marketing) | 3 | 3 |
전공 | 10436 | 바디페인팅연구(Study in Body Painting) | 3 | 3 |
전공 | 10437 | 분장미학(Aesthetics of Disguisement) | 3 | 3 |
전공 | 10439 | 모발과학특론(Theory of Hair Science) | 3 | 3 |
전공 | 10440 | 헤어아트디자인연구(Study in Hair Arts Design) | 3 | 3 |
전공 | 10441 | 헤어컬러링연구(Study in Hair Coloring) | 3 | 3 |
전공 | 10442 | 전통헤어디자인(Traditional Hair Design) | 3 | 3 |
전공 | 10543 | 아트메이크업연구(Art Make-up Study) | 3 | 3 |
전공 | 10544 | 네일아트연구(Nail Art) | 3 | 3 |
전공 | 10545 | 뷰티세미나(Beauty Seminar) | 3 | 3 |
전공 | 10546 | 뷰티메이크업연구(Beauty Make-up Study) | 3 | 3 |
전공 | 10547 | 뷰티일러스트레이션연구(Beauty Illustration Study) | 3 | 3 |
전공 | 10549 | 패션과뷰티디자인연구(Fashion & Beauty Design Study) | 3 | 3 |
전공 | 10550 | 퍼스널이미지연구(Study in personal Image) | 3 | 3 |
전공 | 10551 | 쇼메이크업분석(Analysis of Show Make-up) | 3 | 3 |
전공 | 10552 | 헤어조형연구(Study in Hair Formative) | 3 | 3 |
전공 | 10553 | 피부분석연구(Study in Skin Analysis) | 3 | 3 |
전공 | 10554 | 마사지임상연구(Study in Clinical Massage) | 3 | 3 |
전공 | 10555 | 뷰티미학연구(Study in Beauty Esthetic) | 3 | 3 |
전공 | 10556 | 뷰티테라피연구(Study in Beauty Therapy) | 3 | 3 |
전공 | 10557 | 네일디자인(Nail Design) | 3 | 3 |
전공 | 10575 | 졸업리서치특론(Study on Graduate Research) | 3 | 3 |
전공 | 10576 | 졸업프로젝트(Graduate Project) | 3 | 3 |
보충 | 10443 | 일러스트레이션실습(Illustration Practice) | 3 | 3 |
보충 | 10444 | 모발과학(Hair Science Study) | 3 | 3 |
보충 | 10445 | 피부학(Skin Beauty Study) | 3 | 3 |
보충 | 10446 | 기초메이크업실습(Basic Make up Practice) | 3 | 3 |
보충 | 10558 | 뷰티와패션문화(Beauty & Fashion Design) | 3 | 3 |
학과(전공) | 과목코드 | 과목명 | 학점 | 시간 |
전공 | 10449 | 아동미술특론(Special Theory of Juvenile‘s Arts) | 3 | 3 |
전공 | 10450 | 부모자녀관계와부모교육론 (Theory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Home Education) |
3 | 3 |
전공 | 10451 | 아동미술문화와교육사업연구 (Study of Juvenile‘s Art‘s Culture and Education Work) |
3 | 3 |
전공 | 10452 | 아동미술치료이론과교육 (Theory and Education Juvenile‘s Art Cure) |
3 | 3 |
전공 | 10453 | 아동미술감상특론(Apperception of Juvenile‘s Arts) | 3 | 3 |
전공 | 10454 | 평면조형(1)(Dimensional Formative Arts(1)) | 3 | 3 |
전공 | 10455 | 아동미술교육과정연구(Study of Juvenile‘s art‘s curriculum) | 3 | 3 |
전공 | 10456 | 입체조형(1)(Dimensional Formative Arts(1)) | 3 | 3 |
전공 | 10457 | 아동미술지도특론(Special theory of Juvenile‘s art‘s coaching) | 3 | 3 |
전공 | 10458 | 아동행동분석론(Study on analysis of Juvenile‘s behavior) | 3 | 3 |
전공 | 10459 | 아동심리분석론(Study on analysis of Juvenile‘s phychology) | 3 | 3 |
전공 | 10509 | 매체조형연구(Study of Mediun Plastic) | 3 | 3 |
전공 | 10510 | 아동미술세미나Ⅰ(Juvenile‘s art seminar Ⅰ) | 3 | 3 |
전공 | 10511 | 아동미술세미나Ⅱ(Juvenile‘s art seminar Ⅱ) | 3 | 3 |
전공 | 10512 | 색채유희(Play in Color) | 3 | 3 |
전공 | 10577 | 졸업워크샵1(Graduation Workshop 1) | 3 | 3 |
전공 | 10578 | 졸업워크샵2(Graduation Workshop 2) | 3 | 3 |
보충 | 10460 | 아동발달의이해 | 3 | 3 |
보충 | 10461 | 아동미술론(Theory of Juvenile‘s Arts) | 3 | 3 |
보충 | 10462 | 회화표현지도법(Teaching Method of Presentative Painting) | 3 | 3 |
보충 | 10463 | 조형놀이지도법(Teaching Method of Formative Arts) | 3 | 3 |
보충 | 10513 |
아동미술교육사(History of Child Art Education) | 3 | 3 |
구분 | 과정 | 교과목코드 | 교과목명 | 학점 |
전공 | 석사 | 10590 |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이해(Understanding of interface design) | 3 |
10591 | 융합 디지털 컨텐츠 개발(the digital contents for the convergence media) | 3 | ||
10607 | 한국의 문화원형 분석(Korean cultural archetype) | 3 | ||
10593 | 공간/공연 기획(Planning of space & performance) | 3 | ||
10594 | 3D프린터를 이용한 디자인 연구(Design research with 3D printer) | 3 | ||
10595 | 모바일 콘텐츠 기획(Mobile contents planning) | 3 | ||
10596 | 문화트렌드 웨이브 조사(Cultural trend wave Research) | 3 | ||
10597 | 문화상품제작연구(Cultural product production) | 3 | ||
10219 | 영상미학(The aesthetics of image) | 3 | ||
10598 | 생활 콘텐츠 디자인 연구(Living contents Design study) | 3 | ||
10338 | 디자인연구방법론(Theory of design study method) | 3 | ||
10599 | 문화 마케팅론(Introduction to the culture marketing) | 3 | ||
10600 | 문화콘텐츠디자인특론(Cultural Contents Design Theory) | 3 | ||
보충 | 석사 | 10601 | 문화콘텐츠산업론(Cultural contents industry) | 3 |
10602 | 대중문화연구(Research on mass culture) | 3 | ||
10603 | 대중문화와 디지털 컨텐츠(Popular culture and digital contents production) | 3 | ||
10604 | 예술사회학(Sociology of the arts) | 3 | ||
10605 | 모바일 콘텐츠 연구(Mobile contents study) | 3 | ||
10606 |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Cultural contents and storytelling) | 3 |
구분 | 교과목 | 해설 |
---|---|---|
공통 | 개별연구지도(Research Works) | 논문 및 작품에 대한 작성, 제작협의 발표케 한다. |
공통 | 영상미학(The Aesthetics of Image) | 움직이는 동작업으로서의 영상을 이해하고 작품감상과 이론을 통해 영상예술의 폭넓은 가치성과 가능성을 연구함으로써실제 영상작업의 기초로 한다. |
공통 | 조형학특론(Special Seminar of Formative Art) | 물리적 형태와 구조, 형상적 연출 등 조형문제에 대한 시각적 감정, 이성적 판단, 과학적 체계 등 조형적 법칙과 논리체계를 연구한다. |
공통 | 색채계획론(Color Planning) | 디자인에서 중요한 요소이므로 색채에 대한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색체험, 색혼합, 색채조화와 배색 등을 학습하여 색채감각을 높여서 상품의 고부가가치를 부여할 수 있도록 색채기획력을 길러서 고급 디자인 개발에 기여하도록 한다. |
공통 | 디지털아트론(The Theory of Digital Art) | 예술과 디지털의 적합과 접근을 통하여 새로운 시대에 부합되는 디자인방법의 정립을 위한 연구를 한다. |
공통 | 인터랙티브디자인(Interactive Design) | |
공통 | 디자인문화론(Theory of Design Culture) | 디자인의 문화적 기능 및 가치체계를 살펴봄으로써 디자인의 사회·문화적 특징을 연구한다. |
공통 | 디자인마케팅(Design Marketing) | 상품의 수요·공급은 교환시장에서 마케팅의 상황에 따라 좌우되고 기업의 생산활동과 디자인 정책은 마케팅의 원리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본 교과목을 통해 성공적인 디자인은 마케팅의 원칙과 상황 변화에 의존함을 배우게 된다. |
공통 | 디자인연구방법론(Theory of Design Study Method) | 효과적인 디자인의 연구방법은 디자인에 소요되는 시간, 노력,경비를 줄여준다. 본 교과목을 통해 관련된 디자인의 프로세스, 분석과 종합, 요소의 체계적 정리, 디자인기술과 시스템방식을 이해함으로서 디자인실제에 도움이 되게 한다. |
공통 | 창업이론(Theory of Enterprise Foundation) | 효율적인 경영방식을 위하여 과거 거대 기업의 구조 속에 있던 디자인 경영방식은 점점 세분화되고 전문성 있는 소규모의 창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추세이다. 본 교과목은 효과적인 창업을 위하여 갖추어야 할 여러 가지 실무운용방식을 습득하게 한다. |
공통 | 예술공학(Art Technology) | 예술 분야의 새로운 활동영역인 영상의 특성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목표로 한다. 테크놀로지의 개발과 활용에 따라 예술의 개념과 장르가 어떻게 확장, 심화, 갱신되는가를 고찰하고 예술적인 견지에서 테크놀로지의 활용에 따른 문제들을 연구한다. |
공통 | 미디어아트(Media Art) | 예술적 메시지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Media의 방법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예술적 표현에 관한 이론적인 배경에서 시작하여 테크놀로지와 아트의 관계, 미디어아트의 개요와 주요 동향에 대해 다룬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미디어아트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제작하는 전과정을 통해 테크놀로지를 통한 예술적 표현의 방법을 연구한다. |
공통 |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s) | 시간의 흐름에 따라 타이포그래피를 비롯한 이미지가 동적으로 움직이는 모션그래픽의 디자인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주제를 효과적이며 심미적으로 전달 표현하기 위한 모션그래픽스의 디자인 요소들을 이해하고 디자인 프로젝트를 통해 연구한다. |
구분 | 교과목 | 해설 |
---|---|---|
전공 | 플라워디자인특론(Advanced Floral Design) | 플라워 디자인의 조형적, 학문적 이론을 고찰하고, 실제적 플라워디자인의 문제 해결과정과 방법을 조사연구하여, 조형예술로서의 가능성을 분석 연구한다. |
전공 | 절화생리학특론(Advanced Physiology of Cut Flower) | 절화에 대한 생리학적 특성의 이해와 내·외적 품질을 결정짓는 요인을 분석하고 절화 수확 후 관리와 선도 유지방법에 대해 해설한다. |
전공 | 디자인세미나(Design Seminar) | 관련논문이나 각종 작품을 분석 평가하고, 작가와 작품세계를 연구 발표한다. |
전공 | 화훼식물학특론(Advanced in Floriculture) | 플라워 디자인에 사용되고 있는 화훼식물들의 생리 및 특성을 파악하며, 화재로서의 이용을 두고 토론을 통해 이해한다. |
전공 | 플라워디자인연구(1)(Studies in Flower Design(1)) | 각국의 작품을 조형적으로 분석하고, 각종 테마에 적합한 디자인컨셉을 선정하여 실제로 작품을 제작하며 발표, 토의, 평가한다. |
전공 | 플라워디자인연구(2)(Studies in Flower Design(2)) | 플라워디자인 연구(1)과 연계된 강의이다. |
전공 | 화기및오브제연구(Studies of Flower Vase & Object) | 작품연출을 위한 조형실습 및 오브제 제작, 화기제작을 통해 플라워 디자인의 미적감각을 고취시킨다. |
전공 | 현대미술·디자인사론(Theory of Modern Art and Design) | 미술은 인상파 이후, 디자인은 미술 공예운동이후를 중심으로 상호의 연접과 이접의 관계를 연구하고, 이들을 가능하게 하였던 정신적 배경을 다룬다. |
전공 | 디자인발상연구(Studies in Design Idea) | 소재나 재료 등 표현 매체 및 표현방법의 가능성을 여러 가지로 실험 및 실기를 통해 새로운 차원의 조형적 내용과 기법을 응용 연구한다. |
전공 | 화훼색채학특론(Advanced of Floral colors) | 플라워 디자인에 있어서 색채표현의 조형적 특성과 심리학적, 기초학적 접근은 통해 플라워디자인의 학문적 체계를 연구하여 다양한 색채표현을 통해 플라워 디자인의 조형적 가능성을 탐구한다. |
전공 | 디스플레이마케팅(Display Marketing) | 소비자의 기호와 사대적 요구에 적합한 공간연출을 위한 조형적 사고와 표현방법을 연구하여 마케팅 본질과 시장 환경변화 등 마케팅 정보시스템에 관련된 사항을 분석 연구한다. |
전공 | 전통꽃일연구(Studies Traditional Flower Arts) | 국내외 각국의 전통 꽃 문화를 연구하여 발표 전시한다. |
전공 | 원예치료학(Horticultural Therapy) | 전통꽃일연구(Studies Traditional Flower Arts) |
전공 | 테이블세팅디자인연구(1)(Studies of Table Setting Design(1)) | 생활공간장식 중 테이블세팅디자인이 구체적으로 요리 뿐만 아니라 각종 식기나 컵, 수저, 조미료 통, 테이블크로스, 러너, 냅킨, 메트, 촛대 및 센터피스 등의 요소들을 색채, 질감, 형태 등의 구성은 물론, 모임의 목적과 장소와 시간 또는 계절 등을 고려하여 컨셉에 맞는 스타일링을 연출하는 능력을 실기, 실습을 통하여 연구하는 교과목이다. |
전공 | 테이블세팅디자인연구(2)(Studies of Table Setting Design(2)) | 테이블세팅디자인 연구(1)에 이어, 이 교과목에서는 미술, 건축, 음악 등에서 어떤 유파나 시대를 대표하는 특유의 양식이나 특정한 시기(로코코, 바로크 등), 작품의 특정한 경향(고전적, 현대적 등), 특정한 작가 및 개인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표현한다. |
전공 | 실내디자인론(Theory of Interior Design) | 인간이 거주하거나 작업하는 실내공간을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으로 창조해 내는데 필요한 실내디자인의 원리와 방법론에 대한 기본지식을 습득케 한다. |
전공 | 생활원예론(Horticulture in Living) | 생활속에 있는 원예활동을 토론해보며, 그린 인테리어의 표현방법을 이해한다. |
전공 | 꽃작품표현실습(1)(Flower Arrangement(1)) | 자연속에 존재하는 나무, 식물, 꽃, 열매 등을 주된 재료를 조형하는 꽃예술 표현을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작업함으로써, 소재가 갖는 조형요소를 파악하고 그들이 어울어지는 조형원리를 익혀 보다 창의력 있는 꽃예술 작품 제작의 능력을 기른다. |
전공 | 한국꽃예술문화사(Culture History Of Korea Flower Art) | 동·서양의 생활 문화 속에 꽃을 어떻게, 어떤 이유로, 왜 사용했는가에 대하여 민족과의 관련성을 비교 연구하고 한국의 문화사적 입장에서 전통 꽃 예술에 대하여 고찰한다. |
보충 | 실내장식론(Interior Coordination and Decoration) | 생활에 필요한 기구 및 집기의 선택과 장식물들의 연출에 대하여 미학적 구성요소와 원리에 입각한 디스플레이 내지는 Coordination의 이론을 강의하고, 여러 가지 국내외 자료들을 수집 비교 연구하여 생활과 문화와의 관계를 고찰한다. |
구분 | 교과목 | 해설 |
---|---|---|
전공 | 실내디자인사론(Theoretical History of Interior Design) | 아트 앤드 크라프트에서 모더니즘을 거쳐 후기 모더니즘에 이르는 실내디자인의 사적배경과 이론을 다룬다. 그 한계는 작금의 투명성의 실내디자인까지이다. |
전공 | 실내공간디자인스튜디오(1)(Interior Space Design Studio(1)) | 레지텐시얼 인테리어 디자인을 다루며, 특히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부응하는 디자인양식 개발에 주목한다. |
전공 | 실내공간디자인스튜디오(2)(Interior Space Design Studio(2)) | 주로 컨트렉트디자인을 다루되 상업공간의 실내디자인에 주력한다. 이 교과는 광고 및 디스플레이 디자인과 관련성을 갖는다. |
전공 | 실내장식디자인스튜디오(1)(Interior Decorative Design Studio(1)) | 레지덴시얼 디자인에서 그 공간을 형성하는 디자인의 요소를 중심으로 그 이론과 실기를 다룬다. |
전공 | 실내장식디자인스튜디오(2)(Interior Decorative Design Studio(2)) | 상업공간을 형성하는 디자인 요소를 다루되 공간 그래픽과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역점을 둔다. |
전공 | 실내시공학(Interior Construction Methoddology) | 실내의 시공방법과 마감재료를 다룬다. 특히 마감재료인 경우 디자인 아이디어를 실천할 수 있는 연구의 가능성을 극한까지 진척시킨다. |
전공 | 주거환경연구 (Studies of Housing Environmental Analysis) | 주거환경의 물리적 측면에서 안전성, 편리성, 보건성, 쾌적성의 기능을 분석하고 사례를 연구한다. |
전공 | 실내디자인 특수과제(Ⅱ)(Interior Design Studio (Ⅱ)) | 공간구성이론 및 방법, 표현기법, 구체적 디자인 요소들에 대한 지식 등을 기초로 하여 실제 복합적 공간을 기획하고 완성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다룬다. 기초공간으로 비주거 공간 실내디자인과제의 비중을 크게 다룬다. |
전공 | 실내환경색채연구(Color Study on Interior Environment) | 실내환경의 특성에 따른 색채계획 및 색채조절의 이론적 배경과 함께 실제의 과제를 통해 색채효과를 실험한다. |
전공 | 실내디자인방법론(Interior Design Methodology) | 건축 및 산업디자인 분야에 발전시켜온 일반적인 디자인 방법론을 실내디자인에 적용시켜 보다 과학적인 실내디자인 프로세스를 연구한다. |
전공 | 공간행태론(Theory of Space Behaviorism) | 실내디자인은 인간을 위한 공간을 다루므로 인간의 물리적 및 심리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 교과는 통계에 의한 개 공간별 적용 및 연구내용이 중시된다. |
보충 | 실내디자인론(Theory of Interior Design) | 인간이 거주하거나 작업하는 실내공간을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으로 창조해 내는데 필요한 실내디자인의 원리와 방법론에 대한 기본지식을습득케 한다. |
보충 | 주거재료학(Materials of Housing) | 주거건축에 필요한 각종 재료에 대한 특성과 활용법에 대해 학습한다. 주택에 관련된 다양한 건축재료 및 실내마감재료 들에 대한 학습과 현장실습을 통하여 디자인의 기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
보충 | 환경색채학(The Theory of Environmental Colors) | 본 교과목에서는 색채의 원리와 이론을 강의하고 색채가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동시에 색채구성을 실생활공간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케 한다. |
보충 | 환경디자인평가연구(Study Environmental Design Evaluation) | 본 교과목은 열·빛·공기·음· 공간 환경에 관한 기초 이론을 이해하고, 현장조사를 통하여 환경디자인의 실태를 분석하고 평가한다. |
구분 | 교과목 | 해설 |
---|---|---|
전공 | 피부미용학특론(Theory of Skin Beauty) | 피부미용전반에 관한 교과목으로 해부, 생리, 관리에 관한 이론을 다룬다. |
전공 | 뷰티트렌드연구(Study in Beauty Trend) |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어 뷰티예술분야의 유행색체, Make-up의 표현 등 국제적인 경향을 보다 신속한 정보를 제공, 조사, 분석, 적용하는 방법론을 익히며, 뷰티 트렌드에 맞춰 Make-up, 헤어디자인 등에 접목 및 응용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과목이다. |
전공 | 특수분장(Special Disguisement) | |
전공 | 특수캐릭터 창조를 위한 분장에 관한 이론 및 실습 피부관리학특론(Theory of Skin Care) | 피부관리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실습 |
전공 | 한국뷰티문화사(History of Korea Beauty Culture) | 한국의 전통 뷰티문화를 고부가 가치화하기 위하여 한국고유 뷰티문화의 기원과 변천에 대하여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에서 인체를 아름답게 장식하는 미적 특성을 연구한다. |
전공 | 서양뷰티문화사(History of Western Beauty Culture) | 서양의 뷰티산업에 대한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에서 인체를 아름답게 장식하는 서양뷰티문화의 기원과 변천에 대하여 나라별 시대별로 미적 특성을 연구한다. |
전공 | 뷰티마케팅연구(Study in Beauty Marketing) | 소비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좋은 이미지를 지니게 하기위하여 뷰티 디자인의 기획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이미지 기획 및 소비자 정보 분석을 통하여 시장 세분화에 적합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한다. |
전공 | 바디페인팅연구(Study in Body Painting) | 인간의 인체를 대상으로 다양한 표현재료와 도구를 이용하여 예술성과 창의적인 표현으로 바디페인팅의 기술개발 및 표현 특성을 연구한다. |
전공 | 분장미학(Aesthetics of Disguisement) | |
전공 | 분장과 관련한 문화사적 고찰모발과학특론(Theory of Hair Science) | |
전공 | 모발관리에 관한 과학적 이론 및 실습헤어아트디자인연구(Study in Hair Arts Design) | 헤어디자인과 조형이론을 바탕으로 헤어디자인의 창의성과 예술성을 표현하는 디자인의 기획으로 새로운 스타일과 표현기법들을 연구하여 실험적이고 아트적인 헤어디자인을 개발한다. |
전공 | 헤어컬러링연구(Study in Hair Coloring) | 헤어 컬러링의 필요성과 이론을 토대로 염모제의 물리적 화학적 반응을 이해하며,헤어컬러와 모발색상에 대하여 연구 개발한다. |
전공 | 전통헤어디자인(Traditional Hair Design) | 전통헤어디자인에 관한 이론 및 실습 |
전공 | 아트메이크업연구(Art Make-up Study) | 뷰티메이크업을 바탕으로 환타지아, 바디페인팅 등 다양한 표현재료 및 도구를 이용하여 미용의 예술성을 표현하는 아트메이크업의 기술습득 및 개발 연구를 한다. |
전공 | 네일아트연구(Nail Art) | 네일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토대로 네일의 창의적인 아트디자인을 개발 연구한다 또한 손발톱관리와 네일팁에 대한 연구를 한다. |
전공 | 뷰티세미나(Beauty Seminar) | 뷰티 디자인 산업에 관련된 정보 및 연구를 분석한다. |
전공 | 뷰티메이크업연구(Beauty Make-up Study) | 메이크업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이미지별 메이크업과 이미지 메이킹을 위한 뷰티메이크업 기법을 분석 연구한다. |
전공 | 뷰티일러스트레이션 연구(Beauty Illustration Study) | 뷰티산업에 필요한 메이크업, 분장, 헤어 등을 트랜드나 인물의 케릭터 특징을 창의적이고 조형적인 시각언어로 표현하는 기법을 연구한다. |
전공 | 패션과뷰티디자인연구(Fashion & Beauty Design Study) | 인간의 인체를 기본으로 하는 패션과 뷰티디자인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미지별, 케릭터 등 토탈 패션으로서 헤어, 메이크업, 패션에 이르는 다양한 연출방법 등을 연구한다. |
전공 | 퍼스널이미지연구(Study in personal Image) | 개인의 특성, 외모, 성격, 직업, 언어 습관 등을 분석하여 개인의 브랜드 가치를 극대화 시키는 방법을 연구한다. |
전공 | 쇼메이크업분석(Analysis of Show Make-up) | 패션쇼를 통해 나타난 쇼 메이크업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컨셉 및 작품 이미지별로 쇼 메이크업의 조형성 및 예술성을 확립하고 연구한다. |
전공 | 헤어조형연구(Study in Hair Formative) | 두상 및 모발의 이상이 있는 사람에게 필요한 특수가발에 대한 연구와 개인의 이미지 특성에 맞는 헤어스타일에 대한 조형미를 연구 개발한다. |
전공 | 피부분석연구(Study in Skin Analysis) | 피부의 분석과 부속기관의 구조 및 생리 기능에 대한 기초이론을 토대로 각각의 기능에 맞는 화장품개발과 피부 관리 기술을 연구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
전공 | 마사지임상연구(Study in Clinical Massage) | 유아, 청소년, 성인, 중년, 노년기 등 연령층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영양학적인 특성을 연구 분석하여 여러 가지 마사지 종류를 이용하여 연령에 따른 마사지 테크닉을 연구한다. |
전공 | 뷰티미학연구(Study in Beauty Esthetic) | 예술의 양식과 원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뷰티디자인의 예술적 감각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미학의 이론적 전개와 뷰티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
전공 | 뷰티테라피연구(Study in Beauty Therapy) | 칼라테라피, 뮤직테라피, 스파테라피, 스톤테라피, 호르몬테라피 등 현재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테라피를 활용하여 뷰티테라피를 연구 개발한다. |
전공 | 네일디자인(Nail Design) | 건강한 생활을 위한 손, 손톱, 발, 발톱의 위생 및 청결 등에 따른 기초이론과 네일 관리를 습득하기 위하여 네일 기술을 익히고, 더 나아가 장식의 효과를 더한 조형미를 살린 네일 디자인을 연구 한다. |
전공 | 졸업리서치특론(Study on Graduate Research) | 무형의 이미지들을 평면과 입체, 재료와 다양한 기법 등을 통해 시각화하여 헤어, 메이크업, 네일아트 디자인에서 추구하는 창조성과 조형성을 연구하도록 한다. |
전공 | 졸업프로젝트(Graduate Project) | 이 코스는 개별주제에 의한 뷰티디자인전공의 졸업작품 발표과목이다. 발표를 위해 작품을 전개시키고 기획을 하며 뷰티디자인을 문화와 산업으로 전개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전문인으로서의 종합구성능력을 갖도록 한다. |
보충 | 일러스트레이션실습(IllustrationPractice) | 뷰티와 관련된 스티일러스트 실습 |
보충 | 뷰티와 관련된 스티일러스트 실습모발과학(Hair Science Study) | 모발의 원리, 기능, 관리에 관한 기초적 이론 |
보충 | 피부학(Skin Beauty Study) | 피부의 원리, 기능, 관리에 관한 기초적 이론 |
보충 | 기초메이크업실습(Basic Make up Practice) | 기초분장 실습 |
보충 | 뷰티와패션문화(Beauty & Fashion Design) | 인간의 인체를 장식하는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 등 뷰티산업이 패션과 액세서리와 더불어 예술문화 양식과 어떠한 조형미를 형성하는지를 연구한다. |
구분 | 교과목 | 해설 |
---|---|---|
전공 | 아동미술특론(Special Theory of Juvenile‘s Arts) | 미술을 통해 자기의 사고와 감정을 표현할 수 있으며, 아동의 내적욕구를 자유롭게 발전시키기 위해서 아동발달에 따른 특성과 미술교육이 갖고있는 역사와 관점에 따른 지도를 이해하여 아동의 특성에 맞는 미술론을 접하게 할 수 있다. |
전공 | 부모자녀관계와부모교육론(Theory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Home ducation) | 현대사회는 부모의 역할이 사회의 여러 가지 구조와 제도에 따라서 그 내용이나 역할 수행자가 달라짐에 따라, 부모교육의 본질 및 부모역할과 양육태도, 부모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어떻게 자녀와의 관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를 연구한다. |
전공 | 아동미술문화와교육사업연구(Study of Juvenile‘s Art‘s Culture and Education Work) | 아동과 부모의 다양한 문화 요구변화와 변천에 따른 미술교육에서 어떻게 하면 효율적인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미술프로그램의 계획과 시설 및 비품관리, 부모상담과 교육목적과 유형 및 운영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
전공 | 아동미술치료이론과교육(Theory and Education Juvenile‘s Art Cure) | 발달 특성에 따른 아동의 심리특성과 문제행동 및 미술치료의 전반적 이해와 기법을 익혀 그 특성에 맞는 미술치료를 실시한다. |
전공 | 아동미술감상특론(Apperception of Juvenile‘s Arts) | 아동들의 경험을 통하여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고 생각하는 미의식을 기르기 위해 회화, 조각, 공예, 디자인, 건축 등의 특성 및 조형미를 이해하여 심미적인 인격을 완성하는데 있다. |
전공 | 평면조형(1)(Dimensional Formative Arts(1)) | 평면에서 기초조형 연구를 통해 표현방법과 다양한 재료를 연구하고 다양한 평면표현 경험을 갖게하여 창의적 사고력을 발달하도록 한다. |
전공 | 아동미술 교육과정연구 (Study of Juvenile‘s art‘s curriculum) |
아동미술 수업시 필요한, 수업계획서를 비롯한 전 교육과정에 관하여 강의한다. |
전공 | 입체조형(1)(Dimensional Formative Arts(1)) | 조형의 기본적인 문제에서부터 높은 수준에 이르기까지 기초조형언어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을 유추해 내면서 시각적 구조적 형태의 구성요인을 인식하고 재료의 성질을 파악하여 자유로운 조형적 표현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
전공 | 아동미술지도특론(Special theory of Juvenile‘s art‘s coaching) | 아동미술지도에 따르는 제반요소에 관하여 이해한다. |
전공 | 아동행동분석론(Study on analysis of Juvenile‘s behavior) | 아동미술지도현장에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아동들의 행동적 특성에 관하여 이해한다. |
전공 | 아동심리분석론(Study on analysis of Juvenile‘s phychology) | 아동미술지도현장에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아동들의 심리분석에 관하여 이해한다. |
전공 | 매체조형연구(Study of Mediun Plastic) | |
전공 | 아동미술세미나Ⅰ(Juvenile‘s art seminar Ⅰ) | 아동미술지도에 따르는 다양한 문제점들에 관하여 연구, 토의한다. |
전공 | 아동미술세미나Ⅱ(Juvenile‘s art seminar Ⅱ) | 아동미술지도에 수반하는 제반요소에 관하여 연구, 토의한다. |
전공 | 색채유희(Play in Color) | |
전공 | 졸업워크샵1(Graduation Workshop 1) | 아동미술 심화과정으로서 비논문학위과정을 위한 필수 교과목이다. |
전공 | 졸업워크샵2(Graduation Workshop 2) | 아동미술 지도과정으로서 비논문학위과정을 위한 필수 교과목이다. |
보충 | 아동발달의이해 | |
보충 | 아동미술론(Theory of Juvenile‘s Arts) | 아동미술에 관한 전반적 기초 이론 |
보충 | 회화표현지도법(Teaching Method of Presentative Painting) | 아동미술표현에 필요한 회화기법 실습 |
보충 | 조형놀이지도법(Teaching Method of Formative Arts) | 조형놀이로써 아동미술을 지도할 수 있는 실습 및 이론 |
보충 | 아동미술교육사(History of Child Art Education) | 아동미술교육의 발생과정에서부터 현대에 이르는 시대적 아동미술교육사의 흐름 및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아동미술교육을 연구한다. |
구분 | 교과목 | 해설 |
---|---|---|
전공 | 문화콘텐츠디자인특론(Cultural Contents Design Theory) | 사회복지대상자들의 욕구와 문제를 파악하고, 사회복지실천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사회복지방법의 발전에 기초가 되는 조사의 기술, 자료처리 및 보고서작성에 관한 이론과 방법을 연구함. |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이해(Understanding of interface design) |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웹 사이트, 컴퓨터, 가전 제품, 기계, 이동 통신 장비 그리고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 경험과 기기들 과의 상호작용을 디자인하는 것이며, 본 수업은 이러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 |
공간/공연 기획(Planning of space & performance) | 패션쇼, 전시회, 축제, 이벤트 등의 분야에 대한 기획 및 제작과정을 이해한다. 이러한 이벤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기획이 담당하는 역할을 구체적으로 익혀 실제 기획 능력을 향상시킨다. | |
디자인연구방법론(Theory of design study method) | 효과적인 디자인의 연구방법은 디자인에 소요되는 시간, 노력, 비용을 줄여준다. 본 교과목을 통해 관련된 디자인의 프로세스, 분석과 종합, 요소의 체계적 정리, 디자인기술과 시스템방식을 이해함으로서 실제 디자인 활동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 |
모바일 콘텐츠 기획(Mobile contents planning) | 사용자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장조사 및 서비스 시나리오 작성 등을 통한 모바일 콘텐츠(Mobile Contents) 기획 | |
융합 디지털 컨텐츠 개발(the digital contents for the convergence media) | 다양한 장르의 디지털 미디어와 관련된 비즈니스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융합 미디어 환경에 맞는 다양한 디지털-컨텐츠 제작 전문가를 양성한다. | |
3D프린터를 이용한 디자인 연구(Design research with 3D printer) | 최근 가장 주목받고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제작 툴인 3D printer를 이용하여 새로운 컨텐츠 디자인의 제작과 다양한 디자인 연구 분야에 응용 할 수 있다 | |
생활 콘텐츠 디자인 연구(Living contents Design study) | 사회변화요인에 의해 세분화되고 다양화 되어가는 세분화된 계층과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하고 분석하며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적 문제해결과 그 방법론을 연구한다. | |
문화트렌드 웨이브 조사(Cultural trend wave Research) | 전통과 현대를 연계하고 새로운 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문화의 생성과 과정을 연구조사한다. 특히, 세대별 계층별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다. | |
문화상품제작연구(Cultural product production) | 트렌드의 변화와 세대별 계층별 디자인요소를 기반으로 한다. 문화적 경향을 반영한 창의적인 새로운 상품개발과 실무교육을 진행한다. | |
영상미학(The aesthetics of image) | 움직이는 동작업으로서의 영상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작품 감상과 이론을 통해 영상예술의 폭넓은 가치성과 가능성을 연구하고 이를 실제 영상작업에 적용한다. | |
문화 마케팅론(Introduction to the culture marketing) | 문화콘텐츠라는 상품에 대한 마케팅 방법과 그 과정을 연구한다. 다양한 문화콘텐츠 상품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과정을 연구하여 문화콘텐츠의 효율적이고도 바람직한 유통 경로를 모색한다. | |
보충 | 문화콘텐츠산업론(Cultural contents industry) | 국내외 콘텐츠 산업의 현황을 이해하고 트렌드를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산업으로서 콘텐츠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기획자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자질이다. 글로벌 문화산업의 특징을 이해하면서 이를 통해 우리 문화산업이 나갈 바에 대해 생각해본다. |
대중문화연구(Research on mass culture) | 대중문화의 발생과 확산에 대한 기본 이론을 익히고, 하나의 문화현상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습득한다. 또한 문화현상에 대한 대중의 일반적 속성과 그들의 욕망을 탐구한다. | |
대중문화와 디지털 컨텐츠(Popular culture and digital contens production) | 급변하는 디지털과 인터넷 환경 속에서, 영화, 음악, 방송 등 다양한 대중 문화의 형식도 급속히 달라진다. 그에 따른 다양한 컨텐츠 개발과 미디어 디자인 연구. | |
예술사회학(Sociology of the arts) | 예술과 사회의 연관성 및 상호 작용에 대하여 연구한다. 예술의 범주와 정의에 대한 연구 및 예술이 어떻게 형성되고 소비되는지를 이해하고, 예술의 산업화를 탐색한다. | |
모바일 콘텐츠 연구(Mobile contents study) | 해당 기기의 유저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를 고려한 그래픽디자인 중심의 모바일 콘텐츠(Mobile Contents)를 제작 | |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Cultural contents and storytelling) | 스토리가 없다면, 탁월한 문화콘텐츠 역시 존재할 수 없다. 공연/공간 콘텐츠, 영상 콘텐츠 등 다양한 장르와 매체에 따른 스토리텔링 기법을 탐구하고, 그것에 내재된 원리를 습득하여 문화콘텐츠를 기획/제작하는 기본 능력을 함양한다. |
38453)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Tel. 053-850-5033 Fax. 053-850-5039 copyright(c) Daegu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